리그오브레전드 12.20 패치노트
리그오브레전드 12.20 패치노트가 발표되었습니다. (#2, 수정된 사항입니다.)
간략히 소개 후, 디테일을 살펴보겠습니다.
버프: 엘리스, 이블린, 그웬, 제이스, 케넨, 람머스, 오공, 직스
너프: 아트록스, 마오카이, 세트
"상향"
Q - 신경독
- 스킬 사거리: 625 ⇒ 575
- 사거리 탐지 방식: 엘리스의 가장자리에서 대상의 피격 판정 범위 중앙까지 ⇒ 엘리스의 중앙에서 대상의 피격 판정 범위 가장자리까지
이게 버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, 전체적인 사거리가 줄고 피격 판정의 범위의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. 확실한 것은 엘리스 유저들만이 알겠지만 노트만 봐서는 의미있는 버프라고 생각되지는 않네요.
Q - 증오의 가시
- 표식이 부여된 대상에게 입히는 추가 마법 피해량: 10/20/30/40/50 (+주문력의 25%) ⇒ 15/25/35/45/55 (+주문력의 25%)
W - 황홀한 저주
- 매혹 지속시간: 1/1.25/1.5/1.75/2초 ⇒ 1.25/1.5/1.75/2/2.25초
예전에 유튜브를 보던 중, 탑 이블린을 하던 분이 계셨습니다. 놀랍게도 1레벨 싸움으로 다리우스와 올라프를 이기더군요. 어찌됬든 스킬 깡딜의 버프는 꽤 의미있는 버프라고 생각합니다. Q에 붙어있는 표식 추가 딜이라는 건 W의 표식을 말하는 것일테고, 결론적으로는 순간 폭딜을 상향하여 정글 이블린으로써의 암살역할에 칼을 쥐어 주고 싶어하는 것 같네요.
Q - 싹둑싹둑!
- 가위질당 피해량: 10/14/18/22/26 (+주문력의 5%) ⇒ 10/15/20/25/30 (+주문력의 5%)
- 마지막 가위질 피해량: 60/80/100/120/140 (+주문력의 35%) ⇒ 60/85/110/135/160 (+주문력의 35%)
그웬의 Q가 버프를 먹었습니다. 개인적으로 그웬, 피오라, 나서스 등등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입니다. 그웬을 웬만큼 찍어 눌러놓지 않는 이상, 사이드 푸쉬를 지속하면 동등한 입장에서 큰 정글이나 미드를 1:1로 누를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. 게임 특성 상 어쩔 수 없지만, 챔프 빨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게 그런게 아닐까 싶네요. Q의 레벨 당 깡딜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아, Q를 최대치로 찍을 수 있는 중반부부터는 그웬을 조심하는게 좋아보입니다.
W - 전류 역장
- 마나 회복량: 6/8/10/12/14/16 ⇒ 10/12/14/16/18/20
R - 변환: 머큐리 해머
- 추가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: 5/15/25/35 ⇒ 5/15/25/35 (+추가 공격력의 7.5%)
궁극기 해머폼 변환 시의 추가 방마저를 건드렸다는건, 하남자 포킹 좀 적당히 하고 망치로 날뛰어봐라. 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. 근데 제이스를 하는 사람이 있기는 한가요..? 랭크 게임에서 제이스를 못 본지 백만년은 지난 것 같습니다.
E - 번개 질주
- 신규그림자 수리검술: E - 번개 질주가 종료된 후 케넨이 추가 공격 속도를 획득하면 이제 2.5의 공격 속도 제한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.
케넨의 E스킬에 새로운 효과가 추가 되었습니다. (치속 케넨인건가..?)
W - 몸 말아 웅크리기
- 자신 대상 둔화율: 30% ⇒ 0% (삭제)
R - 지진 폭격
- 돌진 속도: 이동 속도의 105% ⇒ 이동 속도의 110%
이건 꽤 큰 버프네요. W스킬 발동 시 둔화율이 삭제 되었습니다. 게다가 궁극기의 발동 속도마저 버프를 먹었네요. 개인적으로 람머스를 평생 동안 20번도 안해봤지만, W스킬 둔화율의 유무가 굉장히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. 정글링 속도 뿐 아니라 소규모 난전에서도 의미가 있겠네요.
R - 회전격
- 궁극기 사용시 회당 피해량: 대상 최대 체력의 8/12/16% (+공격력의 220%) ⇒ 대상 최대 체력의 8/12/16% (+공격력의 275%)
오공의 궁극기의 AD계수가 버프를 먹었습니다. 제가 롤을 한두달 정도 안했었는데, 기억하기로는 당시 오공 정글이 굉장히 좋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. 탑에서도 무난한 모습을 보였었죠. 최근 하루에 한두판 씩하며 감을 찾아가고 있는데, 오공이 잘 안보이는 것으로 보아, 신파나 오공에 타격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네요.
Q - 반동 폭탄
- 마법 피해량: 85/135/185/235/285 (+주문력의 65%) ⇒ 95/145/195/245/295 (+주문력의 65%)
이 녀석 아직도 원딜로 쓰는 사람은 없겠죠..?
"하향"
기본 지속 효과 - 사신 태세
- 체력 회복량: 감소 후 피해량의 100% ⇒ 감소 후 피해량의 80%
뭐 다들 예상하셨던 너프안이라고 생각합니다. 아트록스 너프가 이루어졌고, 아트록스 유저인 제가 생각하기에 다행인 점은 지금 아트록스의 힘의 근원은 월식과 Q+E스킬의 우월한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안정적인 포지션의 폭딜이라고 생각하는데 뭐.. 패시브 힐량을 너프했네요. 라이엇은 날뛰는 아트록스를 더 보고 싶어하는 것일지도?
기본 지속 효과 - 마법 흡수
- 최대 체력 비례 체력 회복량: +최대 체력의 4.5%~12% (레벨에 따라) ⇒ +최대 체력의 4%~10% (레벨에 따라) (참고: 이제 최대 체력 계수는 1, 6, 9, 11, 13, 15, 17레벨에서 4%, 5%, 6%, 7%, 8%, 9%, 10%입니다.)
R - 대자연의 마수
- 재사용 대기시간: 120/100/80초 ⇒ 120/110/100초
마오카이가 의미있는 너프를 먹었네요. 울부짖는 마오카이가 생각납니다. 이제 3코어 이후의 "사람의 피를 빠는 이그드라실"의 모습은 잘 볼 수 없겠습니다.
기본 능력치
- 마법 저항력: 32 ⇒ 28
기본 지속 효과 - 투기장의 투지
- 잃은 체력 5%당 체력 재생량: 0.25/0.5/1/2 ⇒ 0.15/0.5/1/2
- 오른쪽 주먹 공격력 계수: 추가 공격력의 50% ⇒ 추가 공격력의 55%
세트의 기본 마저가 너프를 먹고 체력 재생량 또한 너프를 먹었습니다. 굳이? 헌데, 정말로 왜 너프를 했는지 이해가 가지를 않네요. 공식적으로는 미드 세트를 겨냥한 너프안이라고 말했지만, 제가 볼 때 이 너프는 충분히 탑 세트에게도 영향이 가는 너프안이고 세트는 3~4티어로 짱박히게 될 것입니다. 예언 하나 하자면 다다음 패치 중으로 세트 버프가 이루어지겠지요...
"아이템"
- 체력: 450 ⇒ 350
- 주문력: 60 ⇒ 70
- 원거리 틱당 불태우기 피해량: 최대 체력의 1% ⇒ 최대 체력의 0.8%
악마의 포옹이 좀 더 공격적인 아이템이 되었습니다. 리안드리와 조합해서 안정적인 피통에서 이루어지는 틱당 데미지를 즐기는 사람들이 아니꼬와 보였나 보군요. 개인적으로는 각 아이템들은 각자의 확실한 역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고, 지금 악마의 포옹은 죽도밥도 안되는 아이템이라고 생각합니다. 예를 들어 0.8% 틱 데미지를 얻으려고 이 아이템을 간다기 보다 차라리 우주의 추진력같은 아이템을 가는 게 낫지 않겠습니까?
- 총 가격: 2,500 ⇒ 2,700
- 조합 가격: 600 ⇒ 800
- 방어력: 80 ⇒ 90
- 견고 피해량 감소: 7 (+체력 1,000당 3.5) ⇒ 5 (+체력 1,000당 3.5)
역겨운 얼심 릴리아와 얼심 카사딘을 안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군요.
- 총 가격: 2,500 ⇒ 2,600
- 공격력: 25 ⇒ 35
- 공격 속도: 25% ⇒ 20%
야요의 친구, 필멸자입니다. 공격 속도 5%를 희생해서 먹는 공격력 10은 꽤나 맛있게 느껴지네요. 특히 "야요"에겐 공격력 10만을 얻는 것이 아닐겁니다.
- 잡아채는 발톱 추가 공격력: 기본 공격력의 45% ⇒ 기본 공격력의 50%
- 생명선 보호막 흡수량: 추가 체력의 75%, 3.75초에 걸쳐 감소 ⇒ 추가 체력의 80%, 4.5초에 걸쳐 감소
스테락이 버프를 먹었습니다. 그래도 손이 잘 가진 않네요.